기술공부/인프라

[Hyper-V] Disk differencing에 대하여(2) - 부모디스크 옮기기

봉두두 2022. 5. 13. 22:52
728x90

 

 

지난 포스팅에서 부모디스크와 자식디스크의 관계에 대해서 다루어보았는데,

"부모디스크를 다른 드라이브로 이동하고 싶을 경우"에 대한 내용은 다루지 않아서

오늘은 그 부분을 추가로 정리하고자 한다.

Disk differencing에 대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 

 

 

[Hyper-V] Disk differencing에 대하여

사내에서 사용중인 Infrastructure 기술 중에는 Cloud서버로서는 Azure를 사용하고 있지만 Virtualization 기술로서는 Hyper-V를 활용중이다. 오늘은 Hyper-V에서 Disk 생성 옵션 중 하나인 differencing에 대하..

jy0605.tistory.com

 


 

Disk differencing 방법으로 Child disk를 생성하여 서버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Child disk는 향후 용량이 매우 커질 예정이어서 비용적인 면을 고려하였을 때 불가피하게 HDD에 위치시키게 되었다.

그런데 지난 포스팅 때 Disk differencing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게 되면서

부모디스크를 SSD에 위치시키는 것 만으로도 SSD급 속도체감을 할 수 있다는 글을 보게 되었다.

사실.. 부모디스크와 공유하는 부분이 많을수록 자식디스크에서도 그 속도를 체감할 수 있겠으나

자식디스크의 용량이 커지고 늘어날수록 뭔가 그 속도는 크게 체감할 수 없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긴 하지만

일단은 부모디스크를 SSD 드라이브로 옮기고자 할 때 그 방법이 어떻게 되는지를 먼저 정리하고자 한다.

추후 이동을 결정하게되면 부모디스크를 실제로 SSD로 이전하여 운영해 본 후기도 정리해 볼 예정이다.

 

부모디스크를 옮겨보자👪

1. 부모디스크 cut & paste

원하는 곳으로 부모디스크를 옮긴다. 이 때 copy&paste를 했다면 본래 위치해있던 디스크는 삭제해야 한다.

그러니까 원래 있던 자리에 이제 없어야 함. 새로운 경로로 아예 이동을 시키는 것.

 

2. 자식디스크의 부모디스크 경로 재설정

이제 자식디스크가 가리키던 곳에 더이상 부모디스크는 없다. 아가야 엄마 어디계시니? 쩌기ㅇ....에?

그럼 자식디스크는 당황해하며🥺 부모님 좀 찾아달라고 한다.

이 때 새로운 경로에 옮겨진 부모디스크를 다시 세팅해주면 된다.

 

이 과정을 위해서는 자식디스크를 먼저 검사해야한다.

[Hyper-V 관리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아래 그림과 같이 [디스크 검사...]를 실행한다.

 

 

그럼 바로 파일 열기 창이 뜬다. 그럼 자식디스크를 선택해서 열어준다.

이 때 모든게 정상적으로 세팅된 디스크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우측 하단에 보이는 [Inspect Parent...]를 클릭하면

부모디스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형식과 유사하게 보여준다.

그런데 만약 부모디스크가 있어야 할 자리에 없다면 어떻게 보여질까?

 

 

disk chain이 끊어졌다는 메세지와 함께 이 아이의 부모를 찾아주라는 메세지가 뜨고

보이는 화살표와 같이 [Reconnect...] 버튼이 보인다.

이제 부모디스크를 찾아서 세팅해주면 된다!

 

 

여기까지이고..

Hyper-V 관리자에 부모디스크 이동에 대한 옵션을 찾아보기가 힘들어서 좀 헤맸었는데

상기를 참고해서 진행하면 될 것 같다.

728x90
728x90

'기술공부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V] Disk differencing에 대하여  (0) 2022.04.11
[Docker] 1. Docker 시작하기 - 설치  (0) 2022.03.19